DevOps19 [AWS and 테라폼: Infrastructure as Code] Terraform 작동 원리와 CLI 실습 Terraform 기본 개념 다음은 테라폼 활용에 필요한 개념 resource : 실제로 생성할 인프라 자원을 의미 ex) aws_security_group, aws_lb, aws_instance provider : Terraform으로 정의할 Infrastructure Provider를 의미 https://www.terraform.io/docs/providers/index.html output : 인프라를 프로비저닝 한 후에 생성된 자원을 output 부분으로 뽑을 수 있다. Output으로 추출한 부분은 이후에 remote state에서 활용할 수 있다. backend : terraform의 상태를 저장할 공간을 지정하는 부분. backend를 사용하면 현재 배포된 최신 상태를 외부에 저장하기 때문에.. 2024. 1. 19. [AWS and 테라폼: Infrastructure as Code] AWS Configure 설정 AWS Configure 세팅하기 AWS의 모든 리소스는 API를 통해서 생성할 수 있다. API란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놓은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의미. 즉, 정해진 인터페이스에 맞게 요청을 보내면 요청 받는 쪽에서 해당 요청대로 명령을 수행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. AWS는 명령줄 인터페이스(CLI), SDK(소프트웨어 개발 킷), CDK(클라우드 개발 킷) 등 다양한 방식으로 API를 제공한다. 이중에서 테라폼은 사실 SDK를 사용한다고 할 수 있는데, Terraform에서 내부적으로 요청을 하기 때문이다. AWS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이기 때문에, AWS 입장에서는 사용자를 구분해야할 필요가 있다. 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AWS_ACCESS_KEY_ID와.. 2024. 1. 19. [AWS and 테라폼: Infrastructure as Code] AWS CLI 및 Terraform 설치 링크 https://terraform101.inflearn.devopsart.dev/ AWS CLI 설치 현재 AWS CLI는 version 1, 2 가 있는데, 2에 훨씬 더 많은 기능이 있기 때문에 버전 2로 설치하는 것을 권장. Linux 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\_kr/cli/latest/userguide/install-cliv2-linux.html#cliv2-linux-install # Linux x86 (64-bit) $ curl "https://awscli.amazonaws.com/awscli-exe-linux-x86_64.zip" -o "awscliv2.zip" $ unzip awscliv2.zip $ sudo ./aws/install Terraform 설치 .. 2024. 1. 19. [AWS and 테라폼: Infrastructure as Code] AWS EC2 AWS EC2 Amazon Elastic Compute Cloud(EC2)는 안전하고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용량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다. 사용자는 간단한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편하게 필요한 용량으로 서버를 구성할 수 있다.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포괄적인 제어권을 제공하며, Amazon의 검증된 컴퓨팅 인프라에서 실행할 수 있다. SSH SSH 즉 Secure Shell Protocol 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보통 클라이언트(컴퓨터)와 서버(컴퓨터)가 인터넷과 같은 Network를 통해 통신을 할 때,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. 보통 Password 인증과 RSA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연결을 한다. 첫번째 EC2의 Public IP 확.. 2024. 1. 19. 이전 1 2 3 4 5 다음